등기부등본 보는 법, 이 5가지만 알면 부동산 사기 걱정 없습니다
부동산 계약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등기부등본 항목 5가지. 소유권이전청구권 가등기, 가압류, 압류 등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안녕하세요. 당신이 부자가 되는 곳, 월급쟁이부자들입니다.
👉월급쟁이부자들 월부닷컴에서 등기부등본 보는법 전문가칼럼 무료로 보기
부동산 계약을 앞두고 "등기부등본 꼭 확인하세요"라는 말을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실제로 등기부등본을 펼쳐보면 생소한 용어와 숫자로 가득해,
어디서부터 봐야 할지 막막하다는 분들이 많습니다.
몇만 원짜리 생활용품도 꼼꼼히 비교하면서,
수억 원짜리 집을 중개업소의 말만 믿고 계약하는 경우가
의외로 많다는 점은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특히 등기부등본에 등장하는 몇 가지 용어들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심각한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실거주자와 투자자 모두가 반드시 피해야 할 위험 등기사항 5가지를 중심으로,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1. [등기부등본 보는 법] 반드시 피해야 할 '소유권이전청구권 가등기'
소유권이전청구권 가등기는 말 그대로 '소유권을 나중에 넘겨받기로 한 권리'입니다.
예를 들어 A가 B에게 아파트를 팔기로 계약했지만,
아직 소유권을 넘기지 않고 가등기만 설정해둔 상태에서,
제3자인 C가 이를 모르고 해당 부동산을 매수했다면? 최
종적으로 그 부동산의 소유권은 B에게 돌아가게 됩니다.
C는 수억 원의 손해를 입을 수 있죠.
이처럼 가등기가 설정된 부동산은 언제든지 기존 계약자에게 소유권이 넘어갈 수 있기 때문에,
매수인 입장에서는 절대로 계약해서는 안 되는 위험 신호입니다.
2. [등기부등본 보는 법] '담보가등기'는 왜 위험한가?
담보가등기는 돈을 빌려준 사람이 담보를 확보하기 위해 설정하는 권리입니다.
문제는 일반 가등기와 표기 방식이 동일하여,
등기부등본상으로는 이를 구분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즉, '소유권이전청구권 가등기'로만 표시되기 때문에,
내용을 해석하지 못하면 이 또한 큰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런 부동산 역시 향후 권리관계가 얽혀 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매수자 입장에서는 반드시 피해야 합니다.
3. [등기부등본 보는 법] '소유권이전금지 가처분'은 계약 무효 사유입니다
등기사항 중 '소유권이전금지 가처분'이 기재되어 있다면,
해당 부동산은 법적으로 타인에게 소유권을 이전할 수 없습니다.
예컨대 채무 관계로 소송이 진행 중인 경우,
채권자가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법원에 신청해 설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 등기상 소유권을 넘겨받더라도 법적으로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인 권리 행사가 불가능합니다.
이 역시 확인 즉시 계약을 철회해야 하는 대표적인 등기사항입니다.
이 외에 가압류, 압류는
실제로 집을 빼앗길 수도 있거나
강제집행 당하는 단계인데요.
그만큼 무서운 단계입니다.
가압류, 압류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월급쟁이부자들 월부닷컴에서 등기부등본 보는법 전문가칼럼 무료로 보기